목차
2.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Electronic Parking Brake)가 장착된 차량에서 시프트락 릴리즈 버튼이 없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요즘 차량에 많이 사용되는 전자식 기어변속기 장착차량, 혹은 전자식 파킹브레이크 장착 차량의 경우의 시프트락 릴리즈 버튼의 유무에 대한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Shift Lock Release 버튼 써보셨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엄청 간단한 내용을 포스팅하려고 하는데요~ 바로 Shift Lock Release 버튼에 대한 내용입니다.Shift Lock Release 버튼이란?요즘은 많은 자동차들이 기어변속을 버튼만 누르면 PRND로
chojang2.tistory.com
1.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부분의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Electronic Parking Brake)가 장착된 차량, 전자식 변속 시스템 차량(EGS, SBW 등)에는 별도의 "시프트 락 릴리즈(Shift Lock Release)" 버튼이 없습니다.
✅ 시프트 락 릴리즈가 필요한 이유
기계식 기어 변속 차량에서는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변속이 되지 않도록 "시프트 락(Shift Lock)" 기능이 적용됩니다.
그러나 배터리 방전이나 전자 시스템 오류 등으로 인해 시프트 락이 해제되지 않을 경우, 수동으로 변속을 할 수 있도록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을 제공합니다.
기계식 변속 레버 차량은 기어봉 근처에 작은 버튼(Shift Lock Release)**이 있어, 이를 눌러 강제로 변속할 수 있었습니다.
2.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Electronic Parking Brake)가 장착된 차량에서 시프트락 릴리즈 버튼이 없는 이유는?
1. 기계식 P 버튼이 필요 없음
- 기존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풋브레이크 또는 핸드브레이크)를 사용하는 차량은 P(주차) 모드에서 변속기를 잠그는 역할을 합니다.
- 하지만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차량에서는 변속기 잠금과 주차 브레이크가 전자적으로 제어되므로 별도의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자동 해제
- 일반적인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시프트 락이 걸려 있으면 "Shift Lock Release" 버튼을 눌러야 변속이 가능했죠.
- EPB 차량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자동으로 변속기 잠금이 해제되므로 별도의 수동 해제 버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3. 배터리 방전 시 시프트 락 해제 방법이 다름
- 배터리가 방전되면 일반 차량에서는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을 눌러 중립(N)으로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 EPB 차량은 배터리가 방전되면 차량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수동 해제 절차(비상 전원 공급, 정비 모드 설정 등)를 따라야 합니다.
✅ EPB 차량에서 배터리 방전 시 변속하는 방법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 차량을 견인하거나 움직여야 한다면, 제조사별로 방법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1. 비상 전원을 공급
- 점프 스타트 또는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EPB와 변속기 제어가 가능합니다.
2. 정비 모드(서비스 모드) 활성화
- 일부 차량은 특정 버튼 조합(예: 브레이크 + 시동 버튼)으로 **EPB 정비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차량 매뉴얼을 참고해야 합니다.
3. 수동 해제 장치 사용(제조사별 차이 있음)
- 특정 차량(예: 일부 BMW, 벤츠 등)에는 **수동으로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는 비상 조작 장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국산차(현대, 기아)는 주로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해결됩니다.
결론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이 없습니다.
📌 변속기 잠금 해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자동 해제됩니다.
📌 배터리 방전 시에는 비상 전원 공급 또는 정비 모드를 활용해야 합니다.
추가로 차량 모델에 따라 해제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차량 매뉴얼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3. 전자식 변속 차량(EGS, SBW 등)에서 시프트락 릴리즈 버튼이 없는 이유는?
전자식 변속 차량(EGS, SBW 등)은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이 없음
최근 차량에는 전자식 변속 시스템(Electronic Gear Selector, Shift By Wire, Dial Shift 등)이 적용되면서 기어봉 없이 버튼이나 다이얼로 변속을 제어하는 방식이 많아졌습니다.
이런 차량에서는 물리적인 기계식 기어봉이 없기 때문에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 자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대표적인 전자식 변속 시스템 종류
- SBW(Shift By Wire, 전자식 변속 레버)
→ 버튼식 변속 (현대·기아, 제네시스 등)
- EGS(Electronic Gear Selector, 전자식 기어 셀렉터)
→ 다이얼 변속 (랜드로버, 일부 수입차)
- BMW 전자식 기어 레버
→ 전자식 조작 방식 (BMW, 벤츠 등)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기계적인 변속 장치 없이 전자 신호로 변속을 조작하므로,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이 따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럼 전자식 변속 차량에서 배터리 방전 시 어떻게 변속할까?
✅ 기계식 시프트 락 릴리즈가 없기 때문에, 전자식 차량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중립(N) 변속이 가능합니다.
① 비상 전원 공급 (점프 스타트, 보조 배터리 연결)
-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점프 스타트 또는 외부 전원(보조 배터리) 연결을 통해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면 정상적으로 변속이 가능해집니다.
- 전원이 들어오면 브레이크를 밟고 기어를 중립(N)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② 정비 모드(서비스 모드) 활용
- 일부 차량(특히 현대·기아, BMW, 벤츠 등)은 정비 모드(서비스 모드)를 이용해 전원이 없어도 변속을 중립(N)으로 할 수 있습니다.
- 제조사별로 특정 버튼 조합(예: 브레이크 + 시동 버튼)을 통해 "비상 변속 모드"를 활성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 방법은 **차량 매뉴얼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③ 차량 하부에 수동 변속 해제 장치 제공 (일부 모델만 해당)
- 일부 수입차(BMW, 벤츠, 아우디 등)에서는 차량 하부에 수동으로 변속을 해제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기도 합니다.
- 이 방법은 일반적인 차량에서는 적용되지 않으며, 특정 모델에서만 사용됩니다.
전자식 변속 차량에는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이 없음
✅ 기계식 기어봉 차량 → "Shift Lock Release" 버튼이 있음
✅ 전자식 변속 시스템 차량(SBW, EGS 등) → 별도의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 없음
✅ 배터리 방전 시 해결 방법 → 점프 스타트, 정비 모드 활용, 수동 변속 해제(일부 차량) 즉, 전자식 변속 차량은 Shift Lock Release 버튼이 필요 없으며, 배터리 방전 등의 상황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중립 변속이 가능합니다. 🚗🔧
이렇게 전자식 파킹브레이크, 전자식 변속기 장착 차량에서의 시프트락 릴리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차량의 상당수가 이런 전자식의 시스템을 이용하는데요,
이중주차의 경우나 좁은 공간에서의 주차에서 차를 살짝 밀어서 이동하는 일은 점점 줄어드는 것 같네요.
내용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Shift Lock Release 버튼 써보셨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엄청 간단한 내용을 포스팅하려고 하는데요~ 바로 Shift Lock Release 버튼에 대한 내용입니다.Shift Lock Release 버튼이란?요즘은 많은 자동차들이 기어변속을 버튼만 누르면 PRND로
chojang2.tistory.com
'생활도움정보 > 자동차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오일 교환주기마다 고민이죠? 엔진오일 교환 비용의 혁신을 공개합니다. (타이어 교환, 각종 오일 교환도 가능) (6) | 2025.02.04 |
---|---|
아우디 Q5 가격, 실구매가, 프로모션, 할인, 볼보 차주의 주행후기 정보 (2) | 2025.01.17 |
혼유 사고 대처 방법. 경유 자동차에 휘발유를 주유 한 적이 있습니다... 혼유 경험 썰 풉니다. (2) | 2024.12.12 |
볼보 광안 서비스센터에서 정기점검 받으면서 광안리 해변산책, 영커피 삼익비치점 방문했습니다~! (4) | 2024.11.12 |
타이어 수리키트로 타이어 바람 넣기 해보겠습니다~! (볼보 XC 60 키트로 1세대 K3 타이어 공기압 충전. 사용법, 위치, 압력확인 방법) (43) | 202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