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프스타터 없을때 차량간 배터리점프 방법 보여드리겠습니다. (XC 60으로 K3 시동 걸기)
본문 바로가기
직접 고쳐보아요/자동차

점프스타터 없을때 차량간 배터리점프 방법 보여드리겠습니다. (XC 60으로 K3 시동 걸기)

by 바둑바둑이 2025. 2. 2.
목차

1. 점프케이블 준비


2. 전원 공급해 줄 차량 준비 (XC60)


3. 방전된 차량 준비 (K3)


4. 점프케이블 연결


5.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추운겨울이 계속되는 와중에 여행을 다녀왔더니 저희 차인 K3도 방전이 되어서 시동이 안 걸리네요.

그래서 볼보 XC 60을 이용해서 K3의 방전된 배터리에 점프케이블을 이용해 시동 거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방전된차량-시동-걸기
방전된차량 시동 걸기

1. 점프케이블 준비

점프케이블점프케이블
점프케이블

오래전에 사두고 오래도록 사용 중인 점프케이블입니다.

요즘 인터넷에 1만원대 정도의 가격이네요.

붉은색이 (+) 극, 검은색이 (-) 극에 사용하는 케이블입니다.

연결순서는,

배터리끼리 케이블로 이어줄 때는 +극 먼저 연결,

배터리에서 케이블을 분리할 때는 -극이 먼저 분리입니다.

 

 

 

 

 

붙일 때는 +먼저, 뺄 때는 -먼저라고 생각하시면 편리해요.

저는 이렇게 생각하는 게 직관적이고 편하더라고요.

 

케이블을 준비하고, 연결 및 분리 순서를 기억하고 차량을 준비합니다.

 

 

 

2. 전원 공급해 줄 차량 준비 (XC60)

XC60-배터리-음극과-양극
XC60 배터리 음극과 양극

전원을 공급해줄 차량은 볼보 XC60입니다.

XC60의 경우 보닛을 여는 레버는 운전석 좌측 무릎 쪽 벽에 보시면 작은 레버가 있는데요, 그걸 당기면 보닛이 살짝 들리게 되고, 보닛으로 가서 손가락으로 레버를 살짝 옆으로 눌러주면 보닛을 열 수 있습니다.

 

그다음 차량의 보닛에서 운전석 앞쪽 방향에 배터리의 (+), (-) 극이 위치해 있습니다.

점프케이블이 많이 길지 않기 때문에 방전이 된 차량의 배터리 위치를 고려해서 차량 배터리 간 거리가 가깝게끔 주차를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XC60의 (+) 극 부분은 붉은색 커버로 덮여 있는데요, 그 부분을 젖혀서 케이블을 물릴 준비를 시켜둡니다.

위의 사진 상 오른쪽 부분에 튀어나온 은색돌기가 있습니다.

그 부분이 (-) 극입니다. 바로 옆에 있는 커버에 화살표와 함께 마이너스 표시가 그려진 게 보이시죠?

점프케이블을 물리기 수월하게끔 구조를 만들어 놓은 것이 인상적입니다.

그렇게 (-) 극의 위치도 확인한 후 이제 방전된 차량으로 가서 케이블을 물릴 준비를 합니다.

 

 

3. 방전된 차량 준비 (K3)

방전된-K3배터리방전된-K3배터리
방전된 K3배터리

 

방전된 K3 배터리입니다.

혹한기 시동 안정성이 뛰어난 AGM 배터리를 22년 9월에 교환을 했었는데요,

 

 

 

 

약 2년 5개월간 한 번도 시동이 안 걸릴 만큼 전압이 낮게 된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추운 날씨와 일주일간의 미운행으로 시동불량 상태의 전압이 되어버렸네요.

K3의 경우도 좌측 무릎 인근에 보닛을 열 수 있는 레버가 있습니다. 레버를 젖혀서 보닛을 연후 배터리를 확인합니다.

배터리 좌측 상단에 붉은색으로 그려진 (+) 커버를 열어서 점프케이블 집게가 물 수 있는 납작한 금속 판을 노출시켜 줍니다.

반대쪽 (-) 극에는 노출되어 있는 금속부위를 확인합니다.

 

 

 

4. 점프케이블 연결

점프케이블-연결-(XC60)점프케이블-연결-(K3)
점프케이블 연결

양 차량의 (+). (-) 극의 위치를 확인했으니 전원을 공급해 줄 차량의 시동을 걸어 놓은 상태로 점프 케이블을 연결해 줍니다.

연결이니까 서로 더하는 거죠? 

그럼 (+) 케이블부터 양 차량에 연결을 해줍니다. 

그다음 (-)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케이블을 연결 한 직후에는 방전된 차량의 시동이 안 걸릴 수 있으니 약 10초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 방전된 차량에 시동을 걸어주시며 됩니다.

방전량이 많은 경우 케이블 연결 후에도 시동이 안 걸릴 수 있는데, 이때는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가 조금 더 충전이 되게끔 더 기다렸다가 시동을 걸어보시면 되겠습니다.

 

 

 

 

 

방전되었던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이제 케이블을 분리합니다. 

케이블을 빼는 것이기 때문에

(-) 극에 물린 케이블부터 분리합니다.

그다음 (+) 극 케이블을 분리합니다.

 

이런 순서로 케이블을 분리하는 이유는,

(+) 극은 위에 보이는 붉은색집게가 물리는 부분만 (+) 극성이고,

그 외 차체금속 부분은 모두 (-) 극을 띄게 되는데요.

쇼트(단락)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 위의 순서대로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5. 주의사항

✅배터리 점프로 시동을 걸 경우 양 차량의 배터리가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는 배터리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12V 차량은 12V끼리, 24V 배터리를 사용하는 차량은 24V끼리 점프를 해야 합니다.

 

✅차대 차 배터리 점프뿐 아니라 차대 오토바이 등 기종의 배터리도 전압이 같으면 일시적 충전, 점프 시동이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

 

이상으로 배터리 점프 시동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보조배터리 방식의 휴대용 점프스타터 제품도 많이 판매 중이니, 자동차 보험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서비스 사용 한도를 초과해서 사용하는 일이 많으신 분들은 그러한 제품을 구매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